사회3 바로우 머니, borrow money 필리핀에서 흔히 듣는 영어적인 표현 중의 하나가 "May I ask a favor of you?"라는 말입니다. "내가 너에게 부탁을 하나 해도 되겠니? " 란 뜻의 이 표현은 반드시 뒤에 "Could you lend me money?" 또는 "Let me borrow money?"라는 표현을 달고 나옵니다. xxx "필리핀 사람들은 잘 알지도 못하는 외국인들에게 왜 이렇게 돈을 많이 빌리나 ?" 라는 이유를 곰곰이 생각해보면 필리핀의 사회구조의 단면을 엿볼 수 있게 됩니다. 1. 대부의 문턱이 높습니다. 필리핀에서 급전을 빌린다는 것은 한국 처럼 선진화된 사회의 개념과는 사뭇 다릅니다. 한국은 돈을 빌린다고 하면, 우선 1금융권 그리고 안될 경우 2,3 금융권에 문을 두들리고 그래도 안되면 사체 업에 .. 2022. 2. 16. 필리핀과 교복 필리핀에 가면 우리가 흔히 보지 못한 이국적인 풍경이 몇 개가 있는데 그중에 하나가 대학생들도 "교복"을 입고 다니는 것입니다. 얼굴이 우리와 달라 나이를 가늠하기 힘들어서 처음 봤을 때는 모두 " 고등학생 "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 대학생 " 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필리핀에서 대학생들도 교복을 입는 이유는 “가톨릭”국가라는 보수적인 측면에서 학생은 일반인과 달라야 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또 다른 뜻으로는 필리핀에서" 공부 " 할 수 있다는 것이 부의 상징, 혜택을 받은 사람의 특권과 같아 그렇지 않은 사람과 다른 “차별성”을 보여는 실례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보통 중산층 이하의 필리핀 한 가정의 구성원은 10여 명으로 되어 있는데, 그 가정에서 1명 정도 공부를 잘하는 아이를 대학에 보낸다고 합니.. 2022. 2. 16. 내가 만난 바랑가이 캡틴 바랑가이 캡틴, barangay captain이란 ... 바랑가이는 마을, 동네라는 뜻이고 캡틴은 수장, 우두머리 라는 뜻이니 우리나라 말로 굳이 번역을 하면은 " 동네이장 "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동네이장의권한 보다는 훨씬 쌔서 많은 이권에 관여하기도 하고, 바랑가이 캡틴이 허락을 않으면 그 마을에 개발권 같은 복잡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2009년에 우연히 알게 된 필리피나 (필리핀여성) 집에 방문한 적이 있었습니다. 상당히 서구적으로 생긴 필리피나인데 할아버지가 앙헬레스 클락 공군기지에서 근무하였었던 "미군"이였다는 것을 자랑삼아 이야기하는 친구였습니다. 집이 가난하다는것을 알고 예의상 "골디락(우리나라로 이야기하면 , 파리바겟트 같은 필리핀 제과점) “에서 케익을 이것저.. 2022. 2. 16. 이전 1 다음